선봉이 첩보할 일은, “10월 24일에 금영(錦營)의 급보를 듣고 갑절로 길을 재촉하여 진군한 연유는 전에 급히 보고를 했습니다.
신시(申時, 오후 3시∼5시)쯤 금강에 도착해서 관아에 들어갈 겨를이 없이 바로 납교(蠟橋) 뒤의 봉우리에 올라가서 멀리 바라보니, 건너편 높은 봉우리에 깃발을 줄지어 세워 수십 리에 걸쳐 산위에 있는 것이 병풍이 둘러싼 듯 모여 있습니다. 서로 간의 거리가 1리가 되었으나 날이 벌써 어두워졌기 때문에 우금치(牛金峙), 금학동(金鶴洞), 효포봉(孝浦峰), 납교후봉(蠟橋後峰), 산성(山城) 동쪽 요충지 각 처의 높은 곳에서 바라보며 방비하게 하였습니다.
10월 25일에 해가 뜰 때에 통위영 영관(統衛營 領官) 휘하의 2개 소대를 인솔해서 양쪽으로 나눠 상세히 적의 동태를 정탐했더니, 저들의 대진(大陣)은 효포봉 건너편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납교 뒤의 봉우리와 효포봉을 지키는 곳과의 거리는 남북으로 10여리가 되었고, 높은 봉우리에 적들이 둘러선 것도 수십 리가 되었습니다. 계속 끊어지지 않아 한 곳을 공격할 수가 없기에 한편으로 효포를 지키는 각 진(陣)에 명을 내려 바로 진격하게 했고, 다른 한편으로 각 부대를 독려하여 함께 공격할 때에 통위영 영관 신창희(申昌熙)·오창성(吳昌成), 교장(敎長) 김상운(金相雲)·박상길(朴相吉) 등이 용기를 내어 위험을 돌아보지 않고 병정을 독려해서 포(砲)를 난사하며 기습을 했습니다. 그래서 탄환에 맞아죽은 적이 5∼6명이었고, 다친 자는 그 수효를 셀 수가 없어 적의 선두가 일단 꺾였습니다. 산봉우리에서 바라보았더니 적이 모두 산등성을 내려가서 퇴각하였으나 날도 어두워져서 병정을 거두고 방어를 했습니다. 그 날 유시(酉時, 오후 5시∼7시)에 도착한 서산군수(瑞山郡守) 성하영(成夏永)의 첩정(牒呈)에, ‘적과 접전해서 이틀이 지났으나 조금도 물러가려는 뜻이 없기에 대관(隊官) 윤영성(尹泳成)·백낙완(白樂浣)과 함께 병정을 나눠 인솔해서 3길로 협공을 했습니다. 반나절을 싸워 수십 명의 적을 쏘아죽이니 적이 물러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승세를 타서 추격하여 대포(大砲) 2좌(坐)와 총·창·탄약·깃발 등을 빼앗았고, 저들은 사방으로 흩어져 도주하였다’고 하였습니다. 동시에 도착한 안성군수(安城郡守) 홍운섭(洪運燮)의 보고에, ‘그 날 술시(戌時, 오후7시∼9시)쯤 바로 금영에 도착해서 대관(隊官) 조병완(曺秉完)과 함께 1개 소대를 인솔하여 금강을 지켰습니다.
참영관(參領官) 구상조(具相祖)는 참모관(參謀官) 이상덕(李相德)·이윤철(李潤徹)·신효식(申孝湜)·황승억(黃昇億), 대관(隊官) 이상덕(李相德), 교장(敎長) 김홍엽(金弘燁)·이봉춘(李鳳春)·이장혁(李章爀)·우기준(禹基㻐)·장대규(張大奎) 등과 함께 1개 소대를 데리고 봉수현(烽燧峴, 봉수대가 있는 고개인 듯)을 지켰습니다.
그 다음 날 25일 인시(寅時, 오전 3시∼5시)에 대관(隊官) 조병완(曺秉完)에게 내가 데려온 병정을 인솔하여 북쪽에서 적의 오른쪽을, 참영관(參領官) 구상조는 자신의 장졸(將卒)을 인솔하여 일본군 30명과 남쪽에서 적의 왼쪽을, 서산군수 성하영(成夏永)은 앞을 향해 공격했으나 적의 형세가 산과 들판에 가득해서 이루다 셀 수가 없었습니다.
추장(酋長)이란 자는 가마를 타고 일산(日傘)을 펼쳐든 채 깃발을 흔들고 피리를 불며 벌떼처럼 에워싸서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세 갈래로 진격해서 반나절을 격렬하게 싸워 70여명을 쏘아 죽였고, 2명을 사로잡았으며 기계(器械)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적의 기세가 점차 꺾여 점점 물러나 시야산(時也山) 산기슭에 주둔하였으나 날이 어둡고 병사들도 피곤해서 그대로 군대를 거두었습니다. 5경(五更, 오전 3시∼5시)쯤 적들이 도주해서 경천점(敬川店)을 향해 갔으나 작은 승리로 방어를 소홀히 해서는 아니 되기에 각별히 단속하고 전처럼 지켰습니다. 쏘아 죽이거나 사로잡은 이름과 수효, 빼앗은 기계(器械)를 적어 성책(成冊)해서 첩보한다.’고 하였습니다. 2차례 접전해서 우리 군사가 한사람도 죽지 않았으니 매우 다행스럽습니다. 적이 저처럼 대단해서 우리 군대가 각각 나뉘어서 방어하니 그 형세가 위태롭습니다.
장졸(將卒)이하 각 부대가 단지 충심(忠心)으로 자신을 잊어 버리고 힘을 다해 전진을 하고 후퇴를 하지 않았습니다. 적을 전부 섬멸하지 못했으나 크게 기세를 꺾어 함부로 날뛰지 못하게 했고, 죽인 수효가 적지 않으며 빼앗은 기계도 매우 많습니다. 대포를 되찾은 것은 더욱 가상합니다.
다음 날 경리청(經理廳) 병정 12명이 몰래 나가 습격을 해서 적들이 놀라 흩어지고 회선포(回旋砲) 1좌(坐)를 빼앗았습니다. 적은 군대로 많은 적들을 습격한 뒤에 당장에 그들을 격려하는 상이 없어서는 아니 되기에 위에서 말씀을 드린 포를 빼앗은 병정 12명에게 은전(銀錢) 1푼씩 상으로 주었습니다. 각 영이 많지 않은 병정으로 각 처에 나눠 주둔해서 적은 군사로 많은 적을 상대할 때에 조금도 손상이 없는 것은 실제로 왕령(王靈)이 미친 것이어서 기쁘고 다행스런 마음을 견딜 수가 없습니다. 죽인 적의 수효와 빼앗은 군기(軍器)의 실제 숫자를 적어 성책해서 올려 보내려고 합니다.”라고 하니,
제내(題內)에, “계문하려던 참에 (첩보가) 도착하였다. 전후 2차례의 승리에서 장사(將士)가 적개심을 드러내고 병정이 명령을 받들었으니 매우 가상하다. 경리청 병정이 회선포(回旋砲)를 빼앗은 것은 대단한 공이니 모두 가상하다. 성책해서 올려 보내라.”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