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선봉진이 첩보함

선봉진이 첩보합니다.

“방금 도착한 장위영(壯衛營) 부영관(副領官) 죽산부사(竹山府使) 이두황(李斗璜)의 첩정의 내용에, ‘11월 초 7일 해미(海美)에 주둔하고 있는 적을 격파한 사유는 이미 급히 알렸습니다. 그날 잔당들이 다시 해미읍의 옛 산성에 모였기 때문에 곧바로 2소대를 파견하여 대관 윤희영(尹喜永)과 별군관 조편(趙翩)·윤지영(尹摯榮), 교장 추광엽(秋光燁)·박성희(朴聖熙)·장세복(張世福)·오순영(吳順永)·이경진(李景振) 등이 병사를 이끌고 올라가서 그 성을 격파하고 적을 쫓아냈습니다. 또 일부 잔당 400∼500명이 성 남쪽의 저성(猪城)을 향하고 있기에 또 1소대를 파견하였습니다. 별군관 이겸래(李謙來), 교장 김대유(金大有)·최기성(崔基成) 등으로 하여금 병사를 거느리고 뒤를 추격하여 연이어 사살하고 흩어지게 하였으며, 이어 군대를 철수하여 밤을 지냈습니다.

다음날 대관 윤희영·이규식(李圭奎植), 교장 이경진(李景振)·양기영(梁基英)·최기성·홍선경(洪善敬)·김인길(金仁吉)과 별군관 윤지영·김광수(金光洙)을 각각 출발시켰는데, 해당 1중대 병사를 거느리고 두루 순찰하다가 서산의 매현(梅峴)에서 적의 소굴을 만났습니다. 망원경[遠照鏡]으로 살펴보니 주변에 깃발을 꽂아 놓고 적의 무리들이 가운데에 모여 있었습니다. 곧바로 적에게 다가가 느닷없이 뛰쳐나가 고함을 지르고 포위하며 총을 쏘아대니, 적들도 또한 탄환을 쏘고 대포를 발사하였습니다. 쉬기도 하고 공격하기도 하면서 1시간쯤 지났는데, 어찌된 일인지 적들이 주둔한 산꼭대기에서 화약에 불이 붙어 ‘꽝’하고 큰소리가 나면서 하늘과 땅이 뒤집히고 쪼개지자, 적의 무리 수천 명이 한꺼번에 쏟아져 달아났습니다. 우리 병사들도 한바탕 크게 놀랐으나, 잠깐 사이에 정신을 가다듬고 수백 보를 추격하였습니다. 이리저리 흩어진 무기를 수습하고, 군사를 돌려 해미성으로 돌아오니 닭이 세 번 울었습니다. 포로로 잡은 23명은 즉석에서 총살하였고, 노획한 군수품은 다듬어 책으로 엮어서 보고합니다.

오늘 홍주에 주둔해 있는 일본군 장교 아까마쯔 고쿠보(赤松國封)가 보내온 공문 내용 가운데, ‘공주가 위급하니 각 부대를 모아 일제히 남쪽의 적을 토벌하라’는 말에 따라 부득이 날이 밝을 때를 기다려 행군하여 공주로 급히 나갈 계획이라고 하니, ‘비도를 차례로 토벌하고 군수품을 많이 탈환하는데 힘을 다해 큰 공을 세웠으니 참으로 기쁘고 감탄스럽다. 공주감영에도 성화같이 달려가서 지원하라’ 고 데김을 보냈습니다. 노획한 군수품은 책을 엮어서 우선 보고합니다.”

제(題) : 첩보가 도착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