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음죽현감 김종원이 첩보함

음죽현감(陰竹縣監) 김종원(金鍾遠)이 첩보합니다.

음죽현의 곤지암(昆地岩)에 거주하는 원세희(元世凞熙)는 본래 사대부 집안 자제로서 동도에 들어갔습니다. 운량 도집강(運糧都執綱)이라고 칭하고서 백성들의 곡식을 허다하게 토색질하는 행패를 부리지 않은 곳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무리를 모아 그들에게 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도망쳐 들어 왔기 때문에 곧바로 염탐하여 잡아와서 엄히 곤장을 치고 석방했습니다. 자신도 그 잘못을 알고 집에 돌아왔다고 자처하고 있습니다. 해당 마을의 곤지암 접주 이의재(李義載), 접사(接司) 이한갑(李汗甲)은 무리를 모아 그들에게 가서 아직 귀화하지 않고 있습니다. 두 놈의 집과 세간을 수색해서 해당 마을에 내어 주어 폐해를 보충하였습니다.

충주 두성동(斗星洞)의 윤희경(尹羲敬)은 동도의 운량감관(運糧監官)인데, 황산(黃山),광혜원(廣惠院) 등지에서 무리를 모을 때에 각처의 군수물자를 마음대로 탈취해갔습니다. 그 죄상을 따져보면 죽어도 죄가 남습니다. 비록 다른 읍과 관련되더라도 이와 같은 거괴는 용서할 수 없습니다. 윤희경은 그들에게 가서 아직 돌아오지 않아서 대신 그 아버지 윤치기(尹致基)를 염탐하여 잡아 가두었습니다. 그런데 이 윤치기가 감히 망측한 마음을 내어 뇌물로 당오전 2,000냥을 바쳐 좌우에 청탁하려고 하였습니다. 이에 청탁한 돈 가운데에서, 몇 백량은 출동하였던 하인이나 이기영을 잡아서 바친 팔성리 백성들에게 시상하고, 나머지 돈 1,150냥은 윤치기에게 돌려 준 뒤 다시 윤치기라는 놈을 칼을 씌워 음죽현의 감옥에 가두려고 합니다. 참작하여 처분해 주십시오.

제(題) : 이의재(李義載)ㆍ이한갑(李汗甲)ㆍ윤희경(尹羲敬) 등은 집에 돌아오는 대로 비밀리 철저하게 염탐하여 잡아 들여라. 이후 모두 엄한 형벌로 직초(直招, 사실대로 바르게 함)를 받아서 보고하라. 돈은 관고(官庫)에 유치하고서 시상을 기다려라.

주석
운량 도집강(運糧都執綱) 양곡을 맡은 책임자. 동학농민군 조직의 집강은 행정의 집행 책임자이다. 2차 봉기 당시 전투가 벌어지는 현지에 집강의 임무를 가진 지도부 인사가 운량의 책임을 맡아 본 것으로 나타난다. 도집강이기 때문에 집강 중의 우두머리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