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임금께 아룀

임금께 아룁니다.

“방금 선봉장 이규태(李圭泰)가 보낸 첩보를 받아보니 ‘공주부에 진(陣)을 치고 주둔할 때에 공주 고을에 사는 전 부사(前府使) 이종헌(李鍾憲)이 엽전(葉錢) 100냥, 전 오위장(前五衛將) 이흥관(李興寬)이 엽전 200냥과 백미(白米) 5섬, 한량(閑良) 서한보(徐漢輔)가 엽전 100냥과 백미 5섬, 전 지사(前知事) 고창규(高昌奎)가 엽전 100냥을 각각 바치고, 대진(大陣)을 이룬 7일 동안 밥·국·반찬을 제공하였고 매일 세끼를 성심으로 준비하였습니다. 전 군수(前郡守) 신종희(申鍾熙)는 마을주민을 통솔해서 백미 150말, 전 감역(前監役) 신복균(申復均)은 소 1마리, 우정면(牛井面)의 노윤환(盧允煥) 등은 백미 5섬, 상고아(上古衙) 주민들은 엽전 300냥, 고단평(古壇坪) 주민들은 엽전 200냥, 일신역(日新驛) 주민들은 엽전 50냥, 율당면(栗堂面) 주민들은 백미 220말, 율정(栗亭) 주민들은 백미 80말을, 익구곡(益口谷) 주민들은 소 1마리, 양촌(陽村)주민들은 백미 35말, 상신근(上新根) 주민들은 소 1마리, 송곡등(松谷等) 마을 주민들은 소 1마리, 약천(藥川) 주민들은 소 1마리를 각각 바쳤고, 이외에 기타 술·떡·닭·돼지 등등 음식물도 각각 해당 마을 주민들이 넉넉히 바쳤기 때문에 하나하나 누어 병정에게 먹였습니다.’는 사연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감히 아룁니다.”

라고 하니, 임금이 대답하기를 “알았다.” 라고 하였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