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경상우병사 이항의가 장계를 올림

경상우병사 이항의의 장계입니다. 지난 달 초 9일에 도착한 전라도 운봉영장 이의경의 보고 내용에, “흉도들이 들끓어 완영(完營)을 다시 함락하였으며, 이어서 남원, 금산, 장수 등지를 불태웠으며, 또 영하(營下)에서 남원부사를 해치고살해하고 순천부사를 곤장으로 때렸으며, 이제 운봉을 넘어 영남으로 향하였습니다. 본진(本鎭)은 탄환이 적지만 다행히 전 주서(注書) 박봉양(朴鳳陽)이 의병을 일으킨 덕분에 가까스로 화를 면했습니다. 그러나 저들은 많고 우리들은 적기 때문에 특별히 인접한 고을의 장정을 동원하여 우익으로 삼아 도움을 주도록 하여 날짜에 맞춰 승전을 보고하겠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운봉은 영우(嶺右)에 이르기까지 순치(脣齒)의 밀접한 관계이므로 서로 도와야 할 의리로 보아 잠시라도 소홀히 할 수 없으니 그곳 진(鎭)의 부근 읍에 관문으로 신칙하여 함양(咸陽)이 먼저 포군 1백 명을 보내 왔습니다. 같은 달 13일에 도착한 그곳 영장의 보고 내용에, “수만 명의 적도들이 본진(本鎭)의 산봉우리 아래 10여 곳에서 부대를 나누어 있기 때문에 전에 보고한 포군을 아주 속히 내려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하였습니다. 형세가 분명 급박하여 구원의 요청이 두 번이나 왔기 때문에 이제 군사를 파견하려고 하는데 신의 감영의 별군관 전 만호(萬戶) 윤순백(尹順伯)이 때맞추어 상대(商隊)의 도반수(都班首)가 모집한 상민(商民) 장정 2백 명을 데리고 가서 구원하기를 자원하므로 관군 60명을 조달하여 18일 미시(未時, 오후 1~3시)에 보냈습니다. 동 윤순백이 26일에 그곳 진의 병사와 합세하여 곧바로 남원 반암촌(蟠巖村)으로 가서 수천 명의 적을 만나 3명세놈의 비괴를 총을 쏘아 죽이고 9아홉놈을 사로잡았으며, 승세를 타고 북쪽으로 쫓아갔습니다. 28일에 방향을 바꾸어 남원성 아래에 이르렀는데 성 안에서는 수천 명의 적도들이 견고하게 성을 지키면서 밖으로 나아가지 않았습니다. 관군이 사면을 포위하며 성문을 불태워 부수고 70여 놈을 붙잡았습니다. 나머지 무리들은 무너져 흩어져 스스로 서로 밟혀서 죽은 자들이 셀 수 없을 만큼 많았다고 합니다정도입니다. 이 달 초 5일에 도착한 그곳 영장의 보고 내용에, “영문(營門)에서 보낸 구원병이 남원에서 접전을 벌이며 민첩하게 선두를 다투면서 갖은 위험을 겪었으니 참으로 감탄스러움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나머지 무리를 토벌하는 일은 날짜를 지목하면 기다릴 수 있습니다. 영병(營兵)은 오랫동안 쌓인 피로를 걱정하여 이보다 앞서 돌려보냈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이제 윤숙백이 의분을 격하게 내어 스스로 모집한 상정(商丁)들을 다른 도에 멀리 보내고 자신의 몸은 돌보지 않고 연이어 승리를 거두고 비도를 토벌하였으니 참으로 가상한 일입니다. 권장하는 의도리로 보아 포상의 은전을 베푸는 것이 합당합니다. 그 연유를 급히 아룁니다. 12월 초 6일. 이상을 모두 순무영(巡撫營)에 판부(判付)함.

(번역 : 류호석 전북대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 연구원)

주석
순치(脣齒) 순망치한(脣亡齒寒)의 줄임말.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서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판부(判付) 임금에게 상주한 안(案)을 허가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