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갑오군정실기 甲午軍政實記
일러두기

선봉 이규태가 보고함

은진(恩津) 논산(論山) 노성(魯城)의 봉수(烽燧) 전투
장위부영관(壯衛副領官) 이두황(李斗璜)
원세록(元世祿)
대관(隊官) 이규식(李圭植)
윤희영(尹喜永)
김진풍(金振豊)
박영우(朴永祐)
별군관(別軍官) 윤지영(尹摯榮)
이겸래(李謙來)
김광수(金光洙)
이상은 사람마다 용기를 떨치며 탄환을 무릅쓰고 (적을) 격살하고 병기를 빼앗았으며 각자 힘을 다하여 밤을 새워 적을 포위하여 무기고를 부쉈다.
통위령관(統衛領官) 장용진(張容鎭)
대관(隊官) 신창희(申昌熙)
오창성(吳昌成)
교장(敎長) 박상길(朴相吉)
황수옥(黃水玉)
김상운(金相雲)
규칙(糾飭) 김원석(金元錫)
박원식(朴元植)
이귀길(李貴吉)
홍복영(洪卜英)
십장(什長) 김봉두(金奉斗)
오성겸(吳性謙)
차흥규(車興奎)
김순일(金順一)
참모관(參謀官) 권종석(權鍾奭)
별군관(別軍官) 유석용(柳錫用)
이지효(李志孝)
향군관(鄕軍官) 황범수(黃凡秀)
이주서(李周瑞)
이상은 앞장서 적을 죽였으며, 그 지역을 빼앗아 점거하고 비도를 토벌하여 멀리 달아나게 했으며 군물(軍物)을 빼앗았다.
병정(兵丁) 이원근(李元根)
김계운(金啓云)
조용이(趙用伊)
김의준(金宜俊)
이상은 먼저 용기를 내어 (적을) 격퇴하고 그 깃발을 빼앗았다.
김복용(金福用)
적의 목인(木印)과 문서를 빼앗았다.
십장(什長) 김수길(金守吉)
병정(兵丁) 김양일(金亮一)
화병(火兵) 최점동(崔点同)
이상은 적진 깊숙이 침입하여 그 군물(軍物)을 빼앗았다.
경리병정(經理兵丁) 남창오(南昌五)
김명수(金明壽)
김관일(金寬一)
장위병정(壯衛兵丁) 김치순(金致順)
이상은 몸을 던져 적진에 나아갔으나 탄환에 맞아 죽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