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三南)은 임진년(1592, 선조25)에 의병을 일으킨 훈신(勳臣)의 자손들이 사는 곳인데, 갑오년(1894, 고종31)의 변란에 동학의 무리들이 멋대로 군사를 일으키는 때를 만나 충성스럽고 의로운 선비들이 무용(武勇)을 쓸 수 없었다. 이 소모사(李召募使)가 비록 성지(聖旨)를 받들고 남쪽으로 왔지만 오로지 동학의 무리들을 귀화시켜 왜이(倭夷)를 배척하는 것을 주 임무로 삼아 나에게 격문을 써 줄 것만 부탁하고 끝내 군영을 설치해 모병(募兵)하는 것은 못 하였으니 안타깝구나.-
삼가 생각건대, 원후(元后)에게서 교화를 의지하므로 자애로운 부친의 은혜를 잊지 않아야 하고, 처음 태어날 때 떳떳한 본성을 편안히 받으므로 의당 자식을 사랑하는 덕을 보답해야 하니 삶을 버리는 것은 바로 의(義)를 취함이요, 목숨을 바치는 것은 인(仁)을 이루는 것 이다. 생각건대, 섬나라 오랑캐들이 승냥이와 범 같은 잔악함으로 하늘의 운수가 임진왜란의 곤액을 만나 희로애락의 감정에 말을 가릴 수 없을 지경이니 사람의 얼굴에 짐승의 마음을 가진 것이 가증스러웠다. 허나 탐욕에 죽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하늘의 위엄과 신의 분노를 알지 못한 것이로다.
경양(涇陽)에서 6월에 군대를 일으켜 선왕(宣王)이 중흥의 공을 세웠고, 귀방(鬼方)에서 3년 만에 고종(高宗)의 무용이 마침내 승리를 거두었다. 이때에 조정이 크게 놀라고 온 나라가 어지러워 지모(智謀) 있는 신하들이 조정에 있으면서 온 힘을 다하였고, 충성스러운 선비들이 밖에서 목숨을 바쳤다. 우리가 잘못한 것이 아니라서 마침내 뛰어난 무용을 드날렸고, 오직 저들이 스스로 정벌당할 짓을 하여 마침내 흉악한 오랑캐의 우두머리를 끊어 버린 것이다.
매번 우리나라의 군대를 엿보아 오직 그 원수를 갚을 것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의 교활함으로 마침내 나라 안에 흉계(兇計)를 두었고 또한 오토리 게이스케(大鳥圭介)의 음험함으로 마침내 천하에 개화(開化)를 의탁하여 도량(稻粱)을 탐하고 갈대 하나로 바다를 건너 만리의 수고로움을 꺼리지 않으니, 성첩을 넘고 궐문을 침범한 것이 하룻저녁의 일로 연유한 것이 아니다.
이때에, 삼적(三賊)이 망명함으로써 살 계책을 펼치고 십간(十姦, 개화정전대인들)이 생지(生地)에서 사기(死機)를 만들어 사직을 위태로운 곳에서 기울게 하기를 마치 평지를 밟듯 하고 군부(君父)를 위급한 지경에서 핍박하여 원수와 한 하늘을 이는 것을 용인하였다. 30년 동안 깊고 두터운 인자함을 이미 함께 입었거늘 500년 사직의 큰 기업이 기울어 위태롭게 되는 것을 보고만 있단 말인가.
삼가 생각건대, 호남의 50여 주에 어찌 한두 명의 의사(義士)가 없겠는가. 왕이 분개하는 상대를 대적하는 뜻은 이미 엄정한 역사서인 『노사(魯史)』에 기재되어 있고, 군사를 내되 규율에 맞게 하는 시기는 지극한 이치인 『희경(羲經)』에 참으로 합당하다. 허원(許遠)과 장순(張巡)은 고립된 성과 흩어진 병졸들을 거두어 사나운 호랑이의 어금니를 꺾었고 문천상(文天祥)과 육수부(陸秀夫)는 위급한 상황에서 단 신으로 떨쳐 일어나 신룡(神龍)의 날개를 보호하였다.
보잘것없는 신(臣)이 감히 북궐(北闕)에서 미약한 보은을 바쳤고 특별히 남주(南州)에서 성상의 간절한 유지(諭旨)를 받들었다. 아, 우리 백성들이 누군들 선왕께서 남긴 자손이 아니겠는가. 하물며 이 어진 백성들은 선조의 자손 아님이 없음에랴. 군대를 쓰는 요체는 오직 적을 헤아려 승리를 생각하는 데 달려 있고, 군부에게 보은하는 도(道)는 의리를 바쳐 충성을 다하는 것보다 우선할 것이 없다.
간절히 우리가 부흥하는 계책을 위하여 대략 저들이 패배한 실상을 말하겠다. 우리 동방은 산천이 수려하고 풍토가 굳세어 수나라 군대가 두 번 쳐들어왔지만 위엄을 잃었고, 당나라 병사가 세 번 바다를 건너 왔지만 패전하였다. 수길(秀吉)은 군세를 잘 보았지만 끝내 한성(漢城)을 넘보지 못하였고, 청정(淸正)은 전략 전술을 잘 사용하였지만 마침내 동래(東萊)에서 곤욕을 치렀다. 이른바 ‘오토리’라는 놈은 이미 수(隋)나라와 당(唐)나라 때와 같은 천하의 형세가 없고, 또한 평수길(平秀吉)과 청정처럼 나라 안의 영웅이 아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민란이 일어난 사이를 틈타 마침내 그 땅의 흉악한 무리들을 몰고 왔다. 여산(廬山)의 큰 골짜기를 어찌 창고의 물건으로 채울 수 있겠으며, 동해의 거대한 물결은 나무와 돌로 메울 수 없는 법이다.
『군참(軍讖)』에 이르기를,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나라를 도모한다면 고생만 하고 공로가 없다.”라고 하였고, 『통서(通書)』에 이르기를, “그 많음을 믿고 남의 재물을 탐내면 교만과 탐욕이 패망을 부른다.”라고 하였다. 우리는 먼 곳을 버리고 가까운 곳을 도모하여 편안함으로 수고로움을 제압하고, 그 포악함을 주벌하고 그 침임에 응수하여 군대를 의(義)로써 격동시키면 어찌 승리하지 못할 것을 근심하겠는가. 공이 없는 것은 근심할 것이 아니다.
초 장왕(楚莊王)이 군사들을 위로하는 말을 내리자 추위에 떨던 군대가 솜을 껴입은 듯이 여겼고, 당나라 황제가 자신에게 죄를 돌리는 조서를 내리자 광망한 장수조차 감동해 눈물을 흘렸다. 임금의 이 글은 종사(宗社)를 근심한 것이요 백성을 인도한 것이니, 비록 궁벽한 지역의 우매한 지아비와 지어미라도 목 놓아 울지 않는 이 없는데, 하물며 사대부와 선비들 중에 의사(義士)와 의인(義人)들이 누군들 분개해 떨쳐 일어남이 없겠는가.
무릇 같은 사람으로서 만약 혹여 안일하게만 지낸다면 우리 선왕께서 의당 우리 선조들을 꾸짖을 것이고 우리 선조들이 반드시 우리 자손들에게 화를 내릴 것이다. 지금 먼저 임금의 유지(諭旨)를 선포하고 이어 나의 작은 진정을 진술하노라.
아, 여러 선비들이여! 각자 충성스러운 갑옷과 의로운 방패를 정비하고 장정과 효자들을 거느리고 권면하여 우리의 천지 부모와 같으신 성상을 위로하고 우리 열성조(列聖祖)께서 남기신 계책을 회복하라. 감히 나의 비루한 정성을 다하여 삼가 간절한 뜻을 진술하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