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춘당록 春塘錄
일러두기

-갑오년(1894, 고종31)의 창의는 비록 형세로는 적절한 때가 아니지만, 신하의 의리상 왕이 분개하는 상대를 대적하는 분노가 있어야 하기에 먼저 여산(礪山) 향교로부터 각 읍의 유생들에게 통고하였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니 안타까운 일이로다.-

다음과 같이 말하노라. 공부자(孔夫子)께서 가르침을 내리시기를, “지사(志士)와 인인(仁人)은 삶을 구해서 인을 해치는 경우는 없고 자신을 희생하여 인을 이루는 경우는 있다.”라고 하셨고, 맹부자(孟夫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삶도 내가 원하는 것이고 의리도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두 가지를 동시에 얻을 수 없다면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하겠다.”라고 하셨다. 무릇 인(仁)은 어버이를 섬기는 것을 우선하고, 의(義)는 임금을 섬기는 것을 주로 하는데, 인과 의는 같은 이치이니 임금과 어버이도 한 몸인 것이다. 인에 뜻을 두고서 삶을 구하는 마음을 둔다면 어버이를 섬기는 인이 될 수 없는데, 어버이를 섬기지 못하는 자가 어찌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의를 행하려 하면서 삶을 취하는 마음을 둔다면 임금을 섬기는 의가 될 수 없는데, 임금을 섬기지 못하는 자가 어찌 어버이를 섬길 수 있겠는가. 이 때문에 차라리 자신의 몸을 희생할지언정 인을 해쳐선 안 되고, 차라리 자기의 삶을 버릴지언정 의를 뒤로해서는 안 되니, 이것이 성현이 후학들을 권면하신 이유이고, 후학들이 임금과 어버이 섬기는 것을 급선무로 해야 하는 이유이다.

아, 우리나라는 인과 의로 나라를 세워서 열성조(列聖朝)의 지극한 인과 극진한 의가 쌓이고 두루 미쳐서 윗사람은 자식처럼 아랫사람들을 사랑하고 아랫사람들은 어버이처럼 윗사람을 친애하였다. 이 때문에 나라에 어려움이 있으면 선비들이 모두 자신을 희생하여 인을 이루었고, 나라에 위급한 일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한 것이니, 진실로 덕을 좋아하는 천성에서 그러한 것이지 인과 의의 이름을 빌린 속임수와 무력이 아니다.

저 임진년(1592, 선조25)과 계사년(1593)에 왜적들이 침범하고부터 음모와 독계(毒計)를 펼치고 승냥이 같은 속내를 마음껏 드러내어 우리 조정을 크게 놀라게 하고 우리나라를 어지럽혔다. 그리하여 백성들의 자애로운 아버지는 파천(播遷, 임금이 옮기는 것)하는 어려움을 겪었고, 임금의 사랑스러운 자식들은 길에 뇌를 쏟고 몸이 문드러졌는데, 우리 선조들이 비로 목욕하고 바람으로 빗질하며 창을 베고 갑옷을 깔고 지내면서 마음을 다해 임금을 보좌하고 힘을 합해 나라를 회복하였으니 바로 인을 해치지 않고 의를 버리지 않아서 살아서는 임금과 어버이에게 보은하였고 죽어서는 자손들에게 경계한 것이다. 저들이 끝내 토벌된 것은 우리가 먼저 공격을 가해서가 아니라 저들이 스스로 정벌당할 짓을 함으로 비롯된 것이니 지금에 이르기까지 300여 년이 흘렀다.

저 이른바 오토리 게이스케(大鳥圭介)가 우리나라 비적(匪賊)들의 난을 엿보고서 흙먼지를 날리며 바다를 건너와 우리의 성벽을 넘고 우리의 궁궐을 침범하여 우리의 군부를 위협하고 우리의 신하들을 겁박하면서 ‘개화(開化)’라고 칭탁하였다. 대저 우리나라는 저들에 대해 장차 ‘우호적인 나라’인가? 아니면 또한 ‘원수의 나라’가 되는가? 만약 이들이 ‘우호적인 나라’라면 ‘개화’라는 두 글자를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과연 이들이 ‘원수의 나라’라면 어찌 이처럼 ‘개화’에 한결같은 마음이겠는가. 다만 그들의 교활한 계책을 시행하여 오랑캐의 문물로 화하(華夏)를 변화시키려는 뜻에 불과한 것이다.

옛날에 신원연(新垣衍)이 조(趙)나라와 위(魏)나라의 왕에게 유세하여 함께 진(秦)나라를 높여 황제로 섬겨 진나라의 군대를 철수시키려 하였는데, 노중련(魯仲連)이 배척하며 말하기를, “진나라는 탐욕스럽고 포악한 나라라서 예의를 돌아보지 않고 적의 머리를 벤 공을 으뜸으로 여기는 나라이다. 저들이 멋대로 황제가 되면 제후들의 대신(大臣)을 갈아 치워서 미워하는 사람의 것을 빼앗아 아끼는 사람에게 줄 것이니 위(魏)나라의 왕이 어찌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나는 차라리 동해에 빠져 죽을지언정 진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라고 하였다.

대저 양나라도 중국이고 진나라도 중국인데, 노중련이 오히려 그들의 예의 없음을 배척하여 백성이 되는 것을 원치 않으니, 서주(西周)의 천하가 한스럽게도 천백년을 못 갔는데 노중련이 대의(大義)를 부지하고 주나라 왕실을 높였다. 하물며 우리가 왜적에 있어서 확연하게 화이(華夷)로 구별되는데 그들의 제도를 따라 그들의 백성이 될 수 있단 말인가. 전날의 원한에 생각이 미치니 남산의 대나무로도 다 쓸 수 없고 동해의 물결로도 다 씻어내기 어려운데, 대저 어찌 몇몇의 신원연이 그 병사를 물리쳐 이 나라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단 말인가. 소모사(召募使)가 남쪽으로 내려와 성지(聖旨)를 선포하였다. 종사(宗社)의 근심은 온 세상 사람들의 마음에 절박한 것이니, 비록 늙고 병든 백성들이라도 격분하여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없는데, 하물며 효제(孝弟)를 행하는 젊은이들이 부모의 근심에 대해 이처럼 무관심할 수 있는가.

『군참(軍讖)』에 이르기를, “적이 기세가 등등하여 능멸하면 기다리고, 적이 패악한 짓을 하면 의롭게 한다.”라고 하였다. 저들이 우리의 약함을 능멸하면 우리는 기다려 대응하는 것은 약함으로 강함을 제압하는 방법이고, 저들이 우리의 부드러움에 패악한 짓을 하면 우리는 의리로써 바르게 하는 것은 부드러움으로 굳셈을 제압하는 방법이다. 의리가 의지하는 바에 병사들의 힘이 날로 새로워지니 바람이 몰아치듯 싸우고 강물이 터지듯 공격한다면, 저들이 강한데 우리가 아주 약하고 너무 부드러움을 보인다고 어찌 걱정할 필요가 있겠는가.

우리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다면 비록 천 만 명의 사람이 있더라도 내가 가서 대적하겠다.”라고 하였으니, 군대를 의로써 일으키면 누가 ‘정직하지 않다’라고 하겠는가. 무릇 우리는 공자의 학문을 배운 사람이니 누군들 선왕의 유민(遺民)이 아니겠으며 또한 누군들 조상의 자손들이 아니겠는가. 시정(市井)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 인신(人臣)이고 초야에 있는 사람들 중에 영웅이 없지 않으니, 우리 여러 현인들은 각자 충성스러운 갑옷과 의로운 방패를 정비하고 날을 정해 온 힘을 다해 떨쳐 일어나 우리 선왕과 선조들이 나랏일에 부지런히 했던 도리를 따라서, 천지 부모와 같으신 임금의 애타는 근심을 보위하고 우리 헌장(憲章)과 제도에 빛나는 문명의 나라를 창성하게 하라. 그리하여 우리가 배운 인을 이루고 의를 취하는 뜻을 어김이 없게 한다면 천만다행일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삼가 각 읍의 향교에 통고함.

숭정후(崇禎後) 갑오년 8월 일에 발문함.

주석
비로 목욕하고 바람으로 빗질하며 온갖 시련을 겪었다는 것을 표현한 말로, 『장자(莊子)』 「천하(天下)」에 우(禹)가 치산치수(治山治水)를 할 적에 “세찬 비에 목욕하고 거센 바람에 빗질을 했다.[沐甚雨, 櫛疾風.]”라고 한 말을 차용한 것이다.
창을 베고 갑옷을 깔고 지내면서 ‘창을 벤다’라는 것은 기필코 적을 섬멸하려는 의지를 비유하는 말로, 동진(東晉)의 유곤(劉琨)이 “내가 창을 머리에 베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항상 오랑캐를 섬멸할 날만을 기다려 왔다.[吾枕戈待旦, 志梟逆虜.]”라고 말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卷62 劉琨列傳』 ‘갑옷을 깔고 지낸다’라는 것은 『중용』에서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무기와 갑옷을 깔고 지내면서 죽어도 싫어하지 않는 것은 북방 사람의 강함이다.[袵金革, 死而不厭, 北方之强也.]”라고 하였는데, 여기서는 ‘창을 벤다’와 같은 의미로 쓰였다.
저 이른바 오토리 게이스케(大鳥圭介)가 우리나라 비적(匪賊)들의 난을 엿보고서 흙먼지를 날리며 바다를 건너와 우리의 성벽을 넘고 우리의 궁궐을 침범하여 우리의 군부를 위협하고 우리의 신하들을 겁박하면서 ‘개화(開化)’라고 칭탁하였다. 당시 일본 공사였던 오토리 게이스케가 동학농민혁명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군대를 이끌고 왔는데, 조선이 농민군과 전주화약을 체결하고 단독으로 개혁을 시행하려 하자 일본군은 “조선의 내정을 개혁한다.”는 구실로 7월 23일에 경복궁에 난입하여 왕과 왕세자를 볼모로 잡아 조선을 위협해 친일 내각을 구성하였던 사실을 가리킨다.
옛날에 신원연(新垣衍)이 조(趙)나라와 위(魏)나라의 왕에게 유세하여 함께 진(秦)나라를 높여 황제로 섬겨 진나라의 군대를 철수시키려 하였는데, 노중련(魯仲連)이 배척하며 말하기를, “진나라는 탐욕스럽고 포악한 나라라서 예의를 돌아보지 않고 적의 머리를 벤 공을 으뜸으로 여기는 나라이다. 저들이 멋대로 황제가 되면 제후들의 대신(大臣)을 갈아 치워서 미워하는 사람의 것을 빼앗아 아끼는 사람에게 줄 것이니 위(魏)나라의 왕이 어찌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나는 차라리 동해에 빠져 죽을지언정 진나라의 백성이 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라고 하였다. 노중련은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고사(高士)이다. 그가 조(趙)나라에 가 있을 때 진(秦)나라가 조(趙)나라를 공격하여 수도 한단(邯鄲)을 포위하였는데, 여러 제후들이 진나라를 두려워하여 감히 조나라를 구원하지 못하였다. 위(魏)나라의 안희왕(安釐王)은 조나라를 구원하고자 하였으나, 진나라가 위협하자 감히 군대를 움직이지 못하고 변사(辯士)인 신원연을 보내, 진나라 임금을 황제로 섬기면 포위를 풀 것이라는 계책을 내었다. 여기에 대해서 노중련이 한 말이다. 『史記 卷83 魯仲連列傳』
남산의 대나무로도 다 쓸 수 없고 동해의 물결로도 다 씻어내기 어려운데, 수(隋)나라 때 이밀(李密)이 양제(煬帝)의 죄 열 가지를 열거하고 이르기를 “남산의 대나무를 모조리 베어 죽간을 만든다 해도 그의 죄악을 다 쓸 수가 없고, 동해의 물을 터놓는다 해도 그의 죄악을 다 씻을 수가 없다.[罄南山之竹, 書罪無窮. 決東海之波, 流惡難盡.]”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資治通鑑 卷183 隋紀 恭帝』
적이 패악한 짓을 하면 의롭게 한다. 『삼략직해(三略直解)』 「상략(上略)」에 자세한 내용이 보인다.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다면 비록 천 만 명의 사람이 있더라도 내가 가서 대적하겠다. 『맹자』 「공손추 상」에 “옛적에 증자(曾子)가 자양(子襄)에게 이르기를 ‘그대는 용(勇)을 좋아하는가? 내 일찍이 대용(大勇)을 부자(夫子)에게 들었다.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지 못하면 비록 천한 사람이라도 내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다면 비록 천만 명의 사람이 있더라도 내가 가서 대적하겠다.’라고 하였다.[昔者, 曾子謂子襄曰 : 子好勇乎? 吾嘗聞大勇於夫子矣. 自反而不縮, 雖褐寬博, 吾不焉? 自反而縮, 雖千萬人, 吾往矣.]”라고 한 말이 있다.
나랏일에 부지런히 했던 도리 원문의 ‘극근지유(克勤之猷)’를 번역한 것으로, 『서경』 「대우모(大禹謨)」에서 순 임금이 우(禹)에게 “나랏일에 부지런하고 집에 검소하여 자만하고 자대하지 않음은 너의 어짊이다.[克勤于邦, 克儉于家, 不自滿假, 惟汝賢.]”라 고 한 것을 인용한 것이다.
숭정후(崇禎後) ‘숭정(崇禎)’은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의종(毅宗)의 연호이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청나라를 오랑캐의 나라라고 여겨 명나라가 멸망했는데도 후(後)를 붙여 청나라의 연호 대신 ‘숭정’ 연호를 사용하였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