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동학농민혁명 관련 고문서 東學農民革命 古文書
일러두기

통문(通文)

다음과 같이 통유(通諭)합니다. 삼가 아룁니다. 가라지를 뽑지 않으면 곡식이 익지 못하고, 가시나무를 베지 않으면 지초(芝草)와 난초(蘭草)가 피어나지 못합니다. 대저 우리 도가 밝혀지지 않는 것은 실로 사특한 설이 횡행하는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추 부자(鄒夫子, 맹자)께서 말씀하시길, “이단의 해악이 홍수보다 심하다.”라고 하셨으니, 이단 허무의 학설의 해악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하물며 이른바 일종 동학(東學)의 사특하고 괴이하며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말이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저 최제우(崔濟愚)라고 이름하는 자는 동학의 수괴(首魁)입니다. 이 때문에 왕법(王法)을 시행하여 법대로 처형되었으니, 도망가고 숨은 잔당들은 즉시 그 옛날에 물든 못된 습관을 고쳐 문치(文治)와 교화(敎化)를 숭상하는 지극한 다스림으로 귀화해야 마땅합니다. 그런데 이를 행하지 않고 도리어 몰래몰래 세력을 길러 점차 무성하게 불어나는 지경에 이르러 비단 서로 한통속이 될 뿐만 아닙니다. 게다가 지금 또 종적을 스스로 드러내어 거리낌 없이 최제우를 신원(伸冤)하자고 주장하면서 무리를 짓고 작당하여 ‘동도(東道)’라고 써서 걸고 청(廳)을 설치하고 상소(上疏)하니 아, 애통한 일입니다. 법률로 따져 응당 처형된 자는 절대로 신원하는 이치가 없으니, 최제우는 응당 신원해서는 안 되는데 어찌 쓸데없이 입을 놀릴 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저들이 대궐문 의 지척인 곳에서 소장(疏章)을 품고 간절히 청하고 있으니 그 완고하고 미련함이 과연 어떠합니까.

저희들은 비록 도성과 먼 곳에서 과거에 응시하는 사람들이지만, 이 일을 목도하고서 저도 모르게 피가 끓는 듯하였으며 간담이 떨리고 등골이 서늘하였습니다. 옛말에 이르기를, “쌓인 깃털이 비록 적더라도 배를 가라앉힐 수 있다.”라고 하였고,개미굴이 비록 작더라도 한 읍을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만약 이러한 상황에 미쳤는데도 그들을 배척하여 환하게 터놓지 않는다면, 그 형세가 장차 어느 지경에 이를지 알지 못하겠습니다.

막 저희들의 소견을 대략 아뢰어 하풍(下風)을 받들려는 참에, 가만히 들으니 이령(李令)이 상소하고 또 이어서 여러 군자들이 날을 정해 소장(疏章)을 올린다고 합니다. 이는 참으로 떳떳한 천성에서 격발된 것으로 도모하지 않아도 서로 같은 것이니, 영외(嶺外)의 뒤처진 의론이 어찌 서로 맞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 삼가 바라건대, 여러 군자들은 부디 머뭇거리며 뒤돌아보지 말고 온 영남을 위해 앞서 인도한다면 매우 다행이겠습니다.

계사년(1893, 고종30) 2월 15일 김진휘(金縉輝), 이만구(李萬求), 서상운(徐相運), 권상문(權相文), 권대림(權大林) 등

주석
“이단의 해악이 홍수보다 심하다.”라고 하셨으니, 『맹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서, 공도자(公都子)가 맹자에게 “다른 사람들이 모두 선생님은 변론하기를 좋아한다고 하는데, 무엇 때문에 그런 것입니까?”라고 물은 데 대해 맹자는 “옛날에 우왕(禹王)이 홍수(洪水)를 억제하자 천하가 평화로워졌고, 주공(周公)이 이적(夷狄)을 겸병(兼幷)하고 맹수를 몰아내자 백성이 편안해졌고, 공자가 『춘추』를 완성하자 난신적자(亂臣賊子)들이 두려워하였 다.”라고 하고 “나 또한 인심(人心)을 바로잡아 사설(邪說)을 종식시키며 잘못된 행실을 막으며 음탕한 말을 추방하여 세 성인(聖人)을 계승하려고 하는 것이다.”라고 대답 한 부분에서 가져온 말이다. 다만 이 말은 맹자의 말에 대한 주희(朱熹)의 해석이다.
최제우를 신원(伸冤)하자고 계사년(1893, 고종30) 2월 박광호 등 동학교도들이 광 화문 앞에서 최제우의 억울한 죽음을 풀어 달라고 복합상소를 올렸다. 이들은 쫓겨나 보은에서 대대적인 집회를 벌였다.
쌓인 깃털이 비록 적더라도 배를 가라앉힐 수 있다.”라고 하였고,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 1」에 “쌓인 깃털이 배를 가라앉히고, 가벼운 물건도 많이 쌓으면 수레바퀴의 굴대를 부러뜨리고, 사람들이 말이 많으면 쇠도 녹이는 법이다.[積羽沈舟, 群輕折軸, 衆口鑠金.]”라고 한 말을 차용한 것이다.
개미굴이 비록 작더라도 한 읍을 떠내려가게 할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한비자(韓非子)』 「유로(喩老)」에 “천길의 제방이 개미의 구멍 때문에 무너진다.[千丈之隄, 以螻蟻之穴潰.]”라고 한 말을 차용한 것이다.
만약 이러한 상황에 미쳤는데도 그들을 배척하여 환하게 터놓지 않는다면, 한유(韓愈)의 「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에 “양자운(揚子雲) 이 이르기를 ‘옛날에 양주와 묵적이 정도(正道)를 막으므로 맹자가 말로 밝혀 물리쳐서 환하게 터놓았다.[古者楊墨塞路, 孟子辭而闢之廓如也.]’ 하였다.”라고 한 말에서 인용한 것으로, 맹자가 양주와 묵적을 배척하였듯이 동학을 배척하여 환하게 터놓아야 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이령(李令)이 상소하고 이령은 이남규(李南珪)를 말한다. 이남규는 척사파 계열의 벼슬아치로, 최초로 동학도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