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동학농민혁명 관련 고문서 東學農民革命 古文書
일러두기

전관(前官)의 관황(官況, 관원의 봉급)을 추심(推尋)하는 차에 도승지의 편지와 내무부의 관문(關文)이 왔기에 이를 올립니다. 이것은 관황이어서 사채(私債)와는 다르니, 이것을 모두 지급하고 관직을 떠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또 각하께 진달된 모모처(某某處)의 편지가 있다고 합니다.

안부를 여쭙는 글[謹候書]

지난번의 편지를 이미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삼가 밤사이에 정사 살피는 체후가 더욱 안녕하시고 가내의 형편이 두루 평안하였기를 바라는 마음 한량없습니다. 저는 공사 간에 괴로움이 많아 좋은 일이라고는 전혀 없으나, 오직 친족이 안녕한 것만은 다행스럽습니다. 읍의 일로 바쁜 와중에 이런 부탁을 드리오나, 처리하지 않을 수 없으니 부디 헛되이 돌려보내지 않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나머지는 차후에 따로 아뢰겠습니다. 갖추지 못하고 글 올립니다.

갑오년(1894, 고종31) 5월 21일 기하(記下) 배(拜)

민준호(閔俊鎬)

주석
민준호(閔俊鎬) 1845~?. 본관은 여흥(驪興). 무관으로 출사하여 부평 부사와 경상 우수사 등을 거쳐 경상 우병사를 지냈다. 이때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 세력이 진주로 확산되자 토벌 대신 유화책으로 대응하여 농민군의 지지를 받기도 했으나, 거꾸로 농민군을 후대했다는 혐의를 받아 파직되었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