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1894년 동학농민혁명 기록문서 一八九四年 東學農民革命 記錄文書
일러두기

하첩

행 현감(行縣監)이 다음과 같이 하첩한다. 본관(本官)이 이곳에 부임한 지 비록 몇 개월 되지는 않았지만, 이 고을의 풍습은 예전부터 잘 알고 있다. 토지는 척박하고 백성은 가난한 데다 여러 해 흉년이 드니 순후한 풍속은 오히려 말할 것이 없고 투박한 행실이 듣는 사람을 놀라게 한다. 문중(門中)의 노약자들이 혹 굶주려 들판에서 죽어 가는데도 구휼할 줄을 모르고, 당내(堂內, 팔촌 이내의 일가)의 숙질(叔姪)이 혹 등에 업고 품에 안고서 경내(境內)를 떠나는데도 부끄러워할 줄을 모르며, 가정의 화목이 무너졌는데도 향당(鄕黨)의 공적인 시비(是非)를 돌아보지 않고, 주머니에 여유가 있어도 매매(賣買)의 높고 낮은 시세를 놓칠까 염려하며, 심지어 형제끼리 싸우는 부끄러움이 있는데도 스스로 문을 닫아걸고 생각할 줄을 모른다.

또 이웃에 사는 사람의 도리로써 말해 보자면, 있고 없는 것을 서로 도와주고 어려움을 함께 구제하는 것이 바로 임휼(任恤)의 도리이다. 그런데 가난해도 도와주지 않고 죽든 말든 돌아보지 않으며, 이웃에 사는 사람이 우환이 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구제해 주지 않으며, 앞마을이 굶주리고 있는데도 아무렇지도 않게 보고 있으니, 어찌하여 이 고을의 풍속이 이처럼 각박하단 말인가.

비록 두세 곳 좋은 소리가 들리는 곳도 있지만, 가르치지 않고 벌주는 것은 차마 할 수 없는 일이기에 이에 특별히 신칙(申飭)하여 일일이 효유(曉諭)하노니, 각박함을 돌이켜 순박하게 된다면 어찌 몹시 가난하여 하소연할 데 없는 자들만의 다행이겠는가. 만약 혹여 뻔뻔스럽게 부끄러움 없이 완고하여 허물을 고치지 않는다면, 특별한 조처로 엄하게 다스려서 기필코 교화를 돈독히 하고 풍속을 바르게 하고자 하니, 잘 개유(開諭)하지 못한 책임은 또한 자연 돌아갈 데가 있을 것이다. 잘 살펴 시행하도록 이 하첩이 잘 도착하기를 바람.

이 하첩을 읍의 면약장(面約長)은 준수할 것.

갑오년(1894, 고종31) 3월 일 발(發)

첩(帖) (서압)

주석
형제끼리 싸우는 부끄러움 원문의 ‘혁장(鬩墻)’은 담 안에서 다투는 일로, 형제끼리의 싸움을 뜻한다. 『시경』 「상체(常棣)」에 “형제는 집안에서는 싸울지언정 밖에서 오는 수모가 있을 때에는 함께 막는다.[兄弟䦧于墻外禦其侮]”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임휼(任恤) 『주례(周禮)』 「지관(地官) 대사도(大司徒) 」에 “향(鄕)에서는 3가지 일로써 백성을 가르쳐 인재를 추천한다. 첫째는 육덕(六德)이니 지인성의충화요, 둘째는 육행(六行)이니 효우목인임휼이요, 셋째는 육예(六藝)이니 예악사어서수이다.[以鄕三物敎萬民而賓興之一曰六德知仁聖義忠和二曰六行孝友睦婣任恤三曰六藝禮樂射御書數]”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임’은 벗에게 신의 있게 한다는 뜻이고, ‘휼’은 가난한 사람들을 구휼한다는 뜻이다.
이웃에 사는 사람 원문의 ‘동정(同井)’은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죽음이나 이사에도 시골을 벗어나는 일이 없다. 향전(鄕田)에 정(井)을 함께 한 자들이 나가고 들어올 때 서로 짝하고, 지키고 망볼 때 서로 도우며, 질병이 있을 때 서로 붙들어 주고 잡아 준다면 백성들이 친목하게 될 것이다.[死徙無出鄕鄕田同井出入相友守望相助疾病相扶持則百姓親睦]”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효유(曉諭) 깨달아 알아듣도록 타이름을 말한다.
개유(開諭) 사리를 알아듣도록 잘 타이름을 말한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