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메이지 27년 일청교전 종군일지 明治二十七年日淸交戰從軍日誌
일러두기

범례 - 본 사료는, 「메이지 27년 일청교전 종군일지(明治二十七年日清交戦従軍日誌)」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묵서(墨書), 종서(縦書)로 길이는 9m 23cm, 폭 34cm. 필자는 후비 제19대대 제1중대의 상등병. 기술의 시작은 1894년(메이지27) 7월 23일, 종료는 1895년(메이지28) 2월 27일이다. 몇 행(行)의 부기(付記)가 적혀 있고 두루마리로 되어 있다. 목제(木製)로 된 심(芯)에 1901년(메이지34) 1월 8일이라고 청서(清書)로 적혀 있다. 소유자는 요시노카와시(吉野川市) 가모시마쵸(鴨島町)에 거주. - 독점(読点)과 병렬점(並列点)을 찍었다. 원문에는 독점이 없다. - 한자는 원칙적으로 정자로 고쳤다. 단, 고유명사, 지명은 원문대로 옛 자체로 두었다. 헨타이가나(変体仮名) 등은 원칙적으로 현대 가나로 고쳤다. 기타, 사료 복각(復刻)의 통례 원칙에 따랐다.

✻동학당 토벌대 병사의 종군일지 「메이지 27년 일청교전 종군일지(明治二十七年日清交戦従軍日誌)」는 이노우에 가쓰오(井上勝生,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가 발굴한 사료로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 『인문학보(人文学報)』 제111호(2018년 3월)에 수록된 것으로 내용 중 범례와 해설은 이노우에 교수가 정리하였다. ✻✻이노우에 가쓰오(井上勝生):1945년 기후현(岐阜縣)에서 출생, 1967년 교토대학 문학부 졸업, 현재 훗카이도대학 명예교수. 주요 편저서로 『시리즈 일본근현대사 1-막말ㆍ유신』(岩波書店, 어문학사에서 『막말유신』으로 번역됨), 『동학농민전쟁과 일본』(공저, 高文研), 『막말유신정치사 연구』(塙書房), 『일본의 역사 18-개국과 막말변혁』(講談社), 『막말유신론집 2-개국』(吉川弘文館) 등이 있다. 최근에는 동학농민혁명에 깊은 관심을 갖고 한국의 동학농민혁명 관련 연구자들과 지속적인 학술 교류를 하고 있다.

- 오자(誤字)라고 생각되는 것도 원문대로 두었고, 루비(ママ) 등을 적었다. - 전반 부분에 오손되어 판독이 불가능한 부분이 있었다. ■로 표시했다. - 연월일은 원본에서 대체를 1자를 띄고 약간 큰 글자로 적었는데, 그대로 따랐다. - 사료 가운데 당시 조선이나 조선인에 대한 차별적인 표현이 보이지만, 역사 자료로서 그대로 게재한 점을 양해하기 바란다. - 목차를 대신해 병사의 진로, 진군 등의 개략을 표시하기 위해 숙박지 일람표를 작성했다. - 지명은 원칙적으로 「종군일지(従軍日誌)」의 기재에 따랐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